Android/Android Compose

개요이 부분에 있어서 얼핏 이해가 가면서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조금 더 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 공식문서 권장UI 상태는 UI 상태를 읽고 쓰는 모든 컴포저블의 가장 낮은 공통 상위 요소로 호이스팅 해야 한다.*호이스팅 -> stateless를 유지하기 위해, 상위 컴포저블에 상태를 보내는 것! 상태 소유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변경 불가능한 상태 및 이벤트를 노출해 상태를 수정한다.-> rememberState를 가지고 있는 컴포저블 = 상태 소유자(?)-> 호출 되는 하위 컴포저블 = 소비자(?)이 부분은 헷갈리네... 가장 낮은 공통 상위 요소가 컴포지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비즈니스 로직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viewModel에서 상태를 호이스팅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 -> 아무래도 얘가 ..
개요오늘도 컴포즈에 관한 내용을 공부하고 정리해본다. 오늘은 페이저!  Compose PagerCompose에서 뷰페이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Pager 라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위 아래로 넘길때 -> VerticalPager좌 우로 넘기려면 -> HorizontalPager를 활용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HorizontalPager는 화면의 전체 너비를 차지한다.VerticalPager의 경우는 전체 높이를 차지한다. HorizontalPager@OptIn(ExperimentalFoundationApi::class)@Composablefun HorizontalPager() { val pagerState = rememberPagerState(pageCount = { 10 }) Horizonta..
개요Compose 앱 레이아웃 에 이은 두 번째 정리. 수정자(Modifier) 정리 들어가겠습니다요 ModifierModifier를 사용하면 컴포저블의 UI를 수정하거나 꾸밀 수 있다. -> 컴포저블의 크기, 레이아웃, 동작 및 모양 변경-> 접근성 라벨과 같은 정보 추가-> 사용자 입력 처리-> 요소를 클릭 가능, 스크롤 가능, 드래그 가능 또는 확대 / 축소 가능하게 만드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Composablefun Greeting(name : String){ Column( modifier = Modifier .padding(24.dp) .fillMaxWidth() .clickable { } ){ ..
개요공식 문서 나와 있는 순서대로 보고 있는데, 두번째 섹션이 수명 주기 였는데 상태 관리를 보고 와야 할 것 같아서 일단 상태 관리 내용부터 먼저 공부를 해봤다. 공식문서 컴포즈의 상태앱의 상태라는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이다.상태라는 것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는데, "앱의 현재 데이터 및 UI 상태" 라고 생각해보니 이해가 얼핏 되었다.이름과 이메일 같은 사용자 정보도 상태고, 알림 설정이나, 블로그 댓글 등 앱 내 데이터도 상태고, 팝업이나 현재 선택된 메뉴 같은 것도 앱의 상태이다. 공식 문서에는 4가지 예시를 언급한다. ->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없을 때 표시되는 스낵바-> 블로그 게시물 및 관련 댓글-> 사용자가 클릭하면 버튼에서 재생되는 물결 애니메이션-> 사용..
알파카임
'Android/Android Compose'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