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프로젝트 진행 도중에 콜백 지옥인 코드를 맛보게 되었다...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서 다음에 기능 수정할 때 눈이 너무 아플 것 같았다! 바로 콜백 지옥에서 벗어나기 위해 async/await과 Promise를 활용했고, 비동기 처리에 있어서 얘네들에 소중함을 절실히 느꼈다. 그리고 얘네들에 소중함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1. 비동기(Asynchronous)비동기에 대한 설명들은 많이 보고 들었지만, 가장 이해가 빨랐던 설명은 '카페에서 음료 주문'이였던 것 같다. 일단 개념은하나의 작업을 시작하고, 그 작업이 끝날 때까지 그 코드에서 머물지 않고(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그 뒤 작업이 끝나면 그 결과를 나중에 알려준다.(Non-Blocking) -> 이 내..
개요함수에 대해 정리한 저번 글에 이어서 오늘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핵심이라고 부를 수 있는 TypeScript에 클래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클래스(Class)TypeScript에서의 class는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class Person { name: string; age: number; constructor(name: string, age: number)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greet(): void { console.log(`안녕, 나는 ${this.name} ${this.age}살`); }}const person1 = new Person("알파카", ..
개요저번 글에서는 변수와 TypeScript에서 적용되는 타입들에 대해 정리를 했는데, 이 글에서는 TypeScript에서의 함수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1. 함수 선언 방식기본 함수 선언 방식function greet(name : string) : string { return `안녕, ${name}`;} -> JavaScript와 다르게 각 매개변수 뒤에 :타입을 입력해주고-> 함수의 반환 타입을 매개변수 뒤에 동일하게 :타입 형태로 입력해준다.-> 만약 반환하는 타입이 없는 경우에 :void 로 입력해준다. 함수 표현식const greet = (name: string) : string { return `안녕, {name}`;};/** 화살표 함수 **/const greet = (..
1. TypeScript 변수 선언Type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것은, JavaScript와 유사하지만 정적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아래 코드와 같이 타입을 강제적으로 선언해주기 때문에 런타임이 아닌 컴파일 단계에서 오류를 검증할 수 있다.let name: string = "타입스크립트";const version: number = 4.9;var isTyped: boolean = true;let name = "타입스크립트"; //타입추론 또한 타입 선언이 없이 값을 넣어준다면, 컴파일러가 타입을 추론하게 된다. : let-> 블록 범위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 const-> 상수 값을 선언할 때 사용한다.-> 재할당이 불가능하다. : var-> 함수 범위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데 사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