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reactstrap에서 className 속성을 통해 Bootstrap의 다양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는데, 기존 템플릿 코드롤 보면서 이게 뭘까 하는게 많았는데 깔끔하게 속성들을 정리해보고 가자.
1. 레이아웃
이름 |
설명 |
container |
고정 폭 컨테이너 |
container-fluid |
전체 너비를 차지하는 컨테이너 |
row |
Flexbox 행 생성 |
col |
자동 크기 조정 열 |
col-{size}-n |
특정 크기(sm, md, lg, xl, xxl)에서 n만큼 너비를 차지 |
d-flex |
Flexbox 컨테이너 활성화 |
d-inline-flex |
인라인 Flexbox 컨테이너 |
d-block |
블록 요소 표시 |
d-inline |
인라인 요소로 표시 |
d-none |
숨김 처리 |
2, Flexbox 관련
이름 |
설명 |
flex-row |
주축을 가로 방향(기본값)으로 설정 |
flex-column |
주축을 세로 방향으로 설정 |
justify-content-start |
왼쪽 정렬(기본값) |
justify-content-center |
가운데 정렬 |
jsutify-content-end |
오른쪽 정렬 |
justify-content-between |
아이템 간 간격을 균등하게 배치 |
justify-content-around |
아이템 주변 간격을 균등하게 배치 |
align-items-start |
아이템을 위쪽 정렬 |
align-items-center |
아이템을 가운데 정렬 |
align-items-end |
아이템을 아래쪽 정렬 |
3. 여백 및 패딩 관련
이름 |
설명 |
m-{size} |
외부 여백 (size: 0~5, auto) |
mt-{size} |
위쪽 여백 |
mb-{size} |
아래쪽 여백 |
ml-{size} |
왼쪽 여백 |
mr-{size} |
오른쪽 여백 |
mx-{size} |
좌우 여백 |
my-{size} |
상하 여백 |
p-{size} |
내부 패딩 |
pt-{size} |
위쪽 패딩 |
pb-{size} |
아래쪽 패딩 |
pl-{size} |
왼쪽 패딩 |
pr-{size} |
오른쪽 패딩 |
px-{size} |
좌우 패딩 |
py-{size} |
상하 패딩 |
4. 반응형
이름 |
설명 |
w-100 |
너비 100% |
h-100 |
높이 100% |
mw-100 |
최대 너비 100% |
mh-100 |
최대 높이 100% |
vh-100 |
뷰포트 높이 100% |
vw-100 |
뷰포트 너비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