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저번에 Ec2 인스턴스 설정을 하고 만들어뒀는데, 다음 단계로 Elastic IP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됐고, Elastic IP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1. Elastic Network Interface
Elastic IP에 대해 알기 전에 먼저 Elastic Network Interface(= ENI)에 대한 내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ENI는 AWS VPC 내에서 EC2 인스턴스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돕는 가상 랜 카드인데,
간단하게 말하면 EC2의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한다고 보면 된다.
위의 그림과 같이 EC2와 ENI의 경우 동일한 가용 영역안에 존재하고, EC2에 여러개에 ENI를 붙였다가 뗄 수 있다.
1-1. ENI 특징 및 구성 요소
특징
-> 모든 EC2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하나의 기본 ENI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연결된다.
-> ENI는 해당 EC2 인스턴스의 생명주기와 연동되고, 인스턴스가 종료될 때 삭제된다.
->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 추가적으로 여러 개의 보조 ENI를 연결할 수 있다.
-> ENI가 EC2 인스턴스에 동적으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설정을 유지한 채로 ENI를 다른 인스턴스에 연결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출 수 있다.
구성요소
-> Private IP 주소
하나의 private IP를 포함하고, 보조 IP를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 Public IP 주소
-> MAC 주소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인스턴스 간 이동할 때에도 동일한 MAC 주소를 유지한다.
-> 보안 그룹
-> 서브넷
ENI는 특정 서브넷에 속하고, 해당 서브넷의 IP 대역 내에서만 동작한다.
2. Elastic IP (탄력적 주소)
Elastic IP(=탄력적 주소)는 고정된 정적 IPv4 주소이다.
이것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위에 ENI를 알아보며 필요한 이유를 알게되었다.
EC2 인스턴스가 중지되었다가 다시 실행되는 경우 ENI에 할당된 Public IP가 변경이 된다. 그렇다면 기존에 클라에서 연결해놨던 IP 주소를 일일이 변경해서 다시 배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lastic IP라는 고정된 IP주소를 ENI 또는 인스턴스에 할당한다.
실제로 Elastic IP를 적용해봐야지!
참고
https://jibinary.tistory.com/133
https://inpa.tistory.com/entry/AWS-📚-탄력적-IP-Elastic-IP-EIP-란-무엇인가
'Infra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란? (2) | 2024.12.18 |
---|